• Latest Issue
   • All Issues
   • 편집위원회규정

 

 

 

 

 

 

 

 

 

  Homo Migrans Vol.17 (Nov. 2017) PDF 전문 Download
 


<특집 논문>

 
  • 귀스타브 르봉(Gustave Le Bon)과 대중사회 – 19세기 프랑스의 계급적 인종론과 종족적 인종론-

문 종 현

  19세기 후반은 이른바 ‘인종’과 ‘대중’의 시대였다. 유럽 국가들 사이 식 민지 쟁탈전이 격화되는 가운데 식민지 통치에 활용된 ‘문명화 사명’ 혹 은 ‘백인의 짐’이라는 이데올로기 속에는 중심과 주변, 지배와 복종, 근대 와 전통, 우수성과 열등성이라는 이항대립이 존재하였다. 국가적, 사회 적 이념으로 자리 잡은 인종주의는  
 

• 영국의 인간유해 수집에서 반환까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원주민 사례

장 예 나

  인간 신체의 일부분인 유해는 단순한 수집품이 아니라 개인의 삶과 영혼이 깃들여있는 신성한 것이다. 하지만 무덤에서 영면해야할 인간유해가 수집되었고 대중들에게 전시되었다. 인간유해는 반환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문화재 ‘약탈’과는 다르다. 인간유해의 약탈 행위는 죽은 이에 대한 존경심의 부족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도덕· 비윤리·비인간적인 영제국의 잔혹한 행위였다.  
 

•식민주의와 이주 - 압델마렉 사이아드(Abdelmalek Sayad)의 경우 -

김 용 우

  ‘출민(出民, emigration)’과 ‘입민(入民, immigration)’은 이주(移住/移民, migration)라는 동전의 양면임에도 불구하고 늘 ‘입민’이 관심의 대상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가능성을 떠올릴 수 있겠지만, 민족국가의 시선과 입장이 여기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은 부정하기는 어렵다. 이주가, 해결해야 할 하나의  
 


<일반 논문>

 
 

• 近代朝鲜移民对中国东北地区水田农业发展的影响(1875~1945)

김 영

  中国东北地区是中国优质粳稻主产区。近代东北地区水稻的种植从无到 有,走了一条独具特色的发展道路。中国与朝鲜半岛山水相连,自古以 来农业交流甚是密切。近代东北地区水田农业是在东北地区持续长达200 多年封禁之后,在关内移民为主的旱田农业开发基础之上,拥有先进寒 地稻作技术与经验的朝鲜移民在移居东北过程中传入并主要由其直接耕 作的。  
 

• 복수국적제도 확대를 둘러싼 쟁점

한동호 외

  1648년 30년 전쟁을 종결시키기 위해 체결된 베스트팔렌조약 이후 등장한 근대주권국가체제하의 국민국가(nation-state)는 국가의 3 요소로서 영토, 국민, 주권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은 단일국적을 가지는 것이 원론적으로는 근대국가체제에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국제화·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각 국가들은 자국의 실정에 맞게 복수국적제도를 운영해오고 있다.  
 

• 세계화 시대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여성이주와 젠더폭력

김 미 경

  “We will 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구호로 시작된 미국 트럼프 (Donald Trump)대통령의 취임은 미국과 멕시코 관계를 전면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의 국내 ㆍ 외적으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 중의 하나는 그의 반-이민정책이다. 그의 반-이민 정책은 국내적으로는 보수파와 진보파, 유럽 출신 이민자와 비유럽 출신 이민자, 지식인과 노동자, 노인층과 젊은층 등 각 층의 갈등과 대립을 격화시키고 있다.  
 

• 혁신주의 시기 뉴욕의 노동조건 개혁 운동과 그 다면성 : 트라이앵글 공장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김 용 현

  1911년 3월 25일 미국 뉴욕 시 맨해튼의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Triangle Shirtwaist Factory)에서 일어난 대형 화재 사건은 20세기 초 미국 사회가 노동자에게 자행했던 가혹한 착취를 예증하는 역사의 한 단면이다. 총 146명이라는 엄청난 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던 이 사건의 기저에는 급격하게 진행되었던 미국의 산업화가 만들어낸  
 

<연구회 휘보>

 

 

<이주사학회 연구윤리 규정>

 

 

<『호모 미그란스』원고작성법>

 

 

<『호모 미그란스』편집ㆍ투고 규정>

 

 
 
       © Since 2009,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 Ethnic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