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test Issue
   • All Issues
   • 편집위원회규정

 

 

 

 

 

 

 

 

 

  Homo Migrans Vol.22(May 2020) PDF 전문 Download
 


<편집자의 글>

 
 


<특집 1 – 식민주의의 다양한 얼굴>

 
  • “호모 루덴스”의 탈식민주의

하영준

  사이드(Edward W. Said)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이후 식민주의가 문화와 맺는 내밀한 권력 관계는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고, 탈식민주의라는 독자적 연구 경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오늘날 탈식민주의는 영화ㆍ음악ㆍ젠더ㆍ과학 기술 등의 연구로 확대되면서...  
 

• 19세기 통킹만의 해적들과 프랑스 식민주의

정재현

  티에우찌(Thiệu Trị) 2년(1842년) ‘중국’ 해적들이 베트남 북부 해안에 출몰하였다. 이들은 상선뿐 아니라 관의 조운선도 약탈하면서 해안 지역을 공포에 빠뜨렸다. 관군은 그들을 붙잡지도 쫓아내지도 못하였다.  
 

• 영제국의 확장에서 뉴질랜드 식민이민의 성격

권형진

  근대 이후 유럽사, 특히 영국사의 중요한 화두는 제국주의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두 차례의 팽창을 통해 전 세계에 거대한 식민제국을 건설한 영제국의 팽창은 해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특집 2 - 새로운 이주사를 위한 역사학 방법론과 개념 확장>

 
  • 과거의 재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양재혁

  플라톤에게 현실 세계는 삼중의 위계적 형식으로 이뤄진다. 현실 세계는 원형인 이데아(Idea) 그리고 그것의 복제물로서 현실인 에이코네스(Eicones) 그리고 이 현실의 복제물인 시뮬라크르(Simulacre)로 구성된다. 실재인 이데아, 그 실재에서 파생된 이차적 존재인 현실 그리고 이 현실에서 다시 파생된 시뮬라크르는 복제의 복제로서...  
 

• From Data to Agents: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

이상동·박충식

  근래에 들어 한국 역사학계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 역사학’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 역사학과 관련된 최근의 학술성과 및 활동은 이를 잘 보여준다. 예컨대 2018년 12월에 출간된 『역사학보』에는...  
 

• 디지털 노마드 시대, 디지털-온라인 환경에서의 새로운 영상 커뮤니케이션

홍상현

  디지털 노마드적인 삶은 단지 공간적인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진 불모의 땅을 새로운 생성지로 전환하는 것, 동일한 자리에 앉아서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을 바꾸어가는 창조적인 행위를 지칭한다.  
 
<일반 논문>
 
 

• 이주노동자와 선주민의 조우와 내적 갈등

박선영

  1970년대 자본주의 경제침체 이후 전개된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해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이동, 즉 초국적 이주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 되었다. 한국 역시 1990년대부터 국내로 이동한 초국적 이주자들이 급속하게 늘어났고,  
 

• 이주서사로서의 『완득이』에 그려진 성장의 의미

신영헌·강지현

 

2000년 이후 엄청난 숫자의 동남아시아 출신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아서 한국에 입국하고, 국제결혼을 통한 아시아 여성들의 국내 이주도 계속 늘어나면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숫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해왔다. 2020년 현재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19년 8월 31일 기준) 에 따르면,

 
 

•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하경수

 

한국 사회에서 역사와 역사교육은 늘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그만큼 역사와 역사교육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인다. 먼저 우리에게 당연한 것이었던 역사인식 방식이 현재의 역사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20세기의 무거운 한반도 역사현실에서 역사와 역사교육은 무언가 ‘근본적이고 치열한’ 것이 되어야 했다.

 
 

• 글로벌 이주의 결정 요인에 대한 시스템 사고

최강화·오병섭

 

이주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류는 계속해서 더 많은 기회와 더 나은 삶을 위해 이동한다. 대부분의 이주자들은 더 높은 임금과 거주 환경, 또는 가족과의 결합과 같은 인한 삶의 질 향상과 더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연구회 휘보>

 

 

<이주사학회 연구윤리 규정>

 

 

<『호모 미그란스』원고작성법>

 

 

<『호모 미그란스』편집ㆍ투고 규정>

 

 

< 연구회 회칙>

 

 
 
       © Since 2009,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 Ethnic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