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test Issue
   • All Issues
   • 편집위원회규정

 

 

 

 

 

 

 

 

 

  Homo Migrans Vol.23(Nov. 2020) PDF 전문 Download
 


<편집자의 글>

 
 


<특집 1 – “일상 속의 제노포비아”>

 
  • 미국의 “질병 토착주의(Medicalized Nativism)”와 제노포비아: 고전 『조용한 침입자들(Silent Travelers): 세균, 유전자,
그리고 “이민자들의 위협”』 다시 읽기

오영인

  세계는 지금 2019년 12월 12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최초로 보고된 급성호흡기중후군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를 호되게 앓고 있다. 이전의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질환)처럼 짧게 지나갈 줄 알았던 코로나19는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 19세기 미국의 나병과 이민자: 미국 중서부의 노르웨이 이민자와 나병 경험

신지혜

  개인의 이동이 증가하고 전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지금, 질병의 매개자는 이제 특정 지역의 특정 인종만이 아니다. 국내든 국외든 이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질병의 매개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민자, 특히 주류 사회에 속하지 못하는 이민자의 경우, 여전히 차별을 벗어나기 힘들다.  
 

• 예외주의에 갇힌 중동의 소수자 담론

엄한진

  지난 6월 성소수자 운동 활동가 사라 헤가지(Sarah Hegazi)가 30살의 나이로 망명지 캐나다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녀는 2017년 9월 22일 카이로에서 열린 레바논 출신 인디밴드의 콘서트에서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개 깃발을 들었던 사람들 중 하나였다.  
 


<특집 2 - “죽은 자의 트랜스내셔널 공간”>

 
  • 하와이 빅아일랜드의 초기 한인 비석연구: 비석을 통해 본 이민자들의 생애사 복원

김주용

  하와이 이민은 정부에서 인정한 최초의 공식적 집단 이민이다. 1902년 12월 22일 121명의 한국인들이 켄카이마루호를 타고 제물포항을 떠나 일본 나가사키에서 다시 하와이로 가는 갤릭호를 갈아타고 1903년 1월 12일에 호놀룰루항에 도착한 것이 최초의 시작이었다.  
 

• ‘잊혀진’ 또는 ‘읽을 수 없는(unreadable)’ 기록 속의 여성들: 빅 아일랜드(Big Island) 한인 1세의 묘비와 삶의 궤적

문경희

  하와이 섬(Island of Hawai’i)은 미국 하와이주를 이루고 있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때문에 빅 아일랜드(Big Island)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리에게는 커피와 서핑으로 유명한 코나가 위치한 휴양지이자 최근에 칼라우에아(Kīlauea) 화산 폭발로 전 세계의 이목을 끈 장소로도 익숙하다.  
 
<일반 논문>
 
 

• 프랑스령 알제리의 ‘새로운 반유대주의’와 유대인-무슬림 관계

음동건

  알제리 땅에서 유대인과 무슬림의 공존은 오랜 것이었다. 두 집단의 만남은 멀리는 7세기 이슬람 우마이야 왕조의 북아프리카 정복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사실상 알제리 유대인 대부분의 뿌리는 14~15세기 이베리아의 그리스도교 왕국들에 의해 추방된 세파라드(Séfarades) 유대인에 있었다.  
 

• 알제리 전쟁 이후 아르키(Harki)의 프랑스 이주: 프랑스의 모국송환자(rapatrié) 정책과 아르키

문종현

 

1962년 3월 에비앙 협정(accords d’Évian)으로 알제리 전쟁이 끝나자, 프랑스 정부는 알제리에 거주하는 프랑스 시민의 모국송환 문제에 직면하였다. 알제리의 독립은 프랑스의 일부였던 알제리가 분리되어 독립된 주권국가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독립한 알제리에서 프랑스인들은 알제리 국민으로 고향에서 살아갈 것인지,

 
 

<연구회 휘보>

 

 

<이주사학회 연구윤리 규정>

 

 

<『호모 미그란스』원고작성법>

 

 

<『호모 미그란스』편집ㆍ투고 규정>

 

 

< 연구회 회칙>

 

 
 
       © Since 2009, Korean Society for Migration & Ethnic Studies